
아무리 집값이 떨어져도 집값이 부담스러운 건 여전합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무려 무이자에 보증금의 약 30%를 지원해주는 파격적인 정책을 시행중입니다. 바로 'SH 장기 안심 주택'인데요.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지원하고자 희망하는 독자님들이 주로 궁금해하는 부분인 1) 장기 안심 주택이 무엇인지 2) 조건은 무엇인지 3)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처음 지원해보는 초심자의 입장에서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SH 장기안심주택이란 무엇인가요? 서울시 무주택시민을 위해, 전월세 세입자가 입주를 원하는 주택의 보증금 30%(최대 6천만원 한도)을 서울시가 무이자로 지원하며 최장 10년까지 보증금의 인상 없이 거주할 수 있는 서울시의 공공임대주택입니다. ※ 단, 보증금이 1억 5천만..

여러분들은 기부 하시나요? 기부는 많은 생명을 살리고 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줍니다. 국가도 이를 응원하고자, 연간 1천만원 이내의 기부금은 22%, 초과하는 기부금은 37.5%의 세액공제를 적용하도록 했습니다. 2023년도에도 정부는 기부를 응원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습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그 중 하나인 '고향사랑 기부금'입니다. 고향사랑 기부금이란? 점점 많은 인파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면서 지역간의 재정 격차는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고자, 기부를 하면, 지역특산물(소고기, 공예품 등)을 답례품으로 제공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새로운 지원을 시도했습니다. 이렇게 지원된 기부금은 각 지자체에서 주민 복리에 사용합니다. 더불어..

직장인의 13월의 월급이라고 하는 '연말정산' 일년 동안 냈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월급이란 거창한 말까지 붙여가면서 말을 하곤 합니다. 그런데 그거 아시나요? 우리가 살고있는 월세도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월세 세액공제 같은 경우는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어 많은 사람들이 기한을 놓쳐 받지 못하곤 합니다. 심지어 공제율도 15~17%나 되니 금액도 꽤 상당합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2023년 기준으로, 월세 세액공제는 언제 신청하고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조건은 무엇인지 하나하나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세액공제 적용 대상 1) 급여 기준 총 급여액 7000만원 이하인 근로자에 해당합니다. (부부합산x) : 종합소득금액이 6000만원..

과거에는 한 직장에서 오래 다니는 게 미덕이고, 이직을 하면 책임감이 없다는 말이 많았죠. 하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죠. 능력만 되면, 이직을 하며, 자신의 연봉을 가장 빠르게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이직이라는 판단에 많은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2~3번의 이직은 경험하곤 합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이직 시, 자신의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증명서인 '경력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력증명서 발급 방법 일반적으로 경력증명서 혹은 재직증명서는 회사마다 형식이 조금씩 상이합니다. 그래서 보통 그와 같은 효력을 갖는 국민연금 가입증명서를 출력하시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제출 시에는 3개월 이내의 증명서가 홈페이지에서 진위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출하는 서류는 3개월 안으로 발급한 서류를 제..